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리즈162

나는 왜 쉽게 흔들릴까 – 자존감과 자신감의 철학 흔들려도 괜찮은 나를 알아가는 길 이 글은 전편 《자존감과 자신감은 어떻게 다를까》에 이어지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자존감과 자신감을 알듯 모른 채 살아갑니다. 개념은 익숙하지만, 정작 내가 흔들릴 때 어느 지점에서 무너졌는지 스스로도 헷갈릴 때가 많죠. 이 글에서는 그 흔들림의 진짜 원인을 철학과 마음공부의 시선으로 들여다보며, ‘나’라는 존재를 다시 따뜻하게 바라보는 여정을 시작해 봅니다.감정은 무너진 자존감에서 시작될까, 자신감에서 시작될까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느끼는 불안, 위축, 눈치… 이런 감정들은 대부분 “자존감이 낮아서 그래”라는 말로 포장되곤 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 감정이 자존감의 문제인지, 자신감의 문제인지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 채 그냥 ‘나를 탓’하게 됩니다. 자존감은 말없이.. 2025. 5. 19.
자존감과 자신감은 어떻게 다를까 겉은 비슷하지만, 뿌리는 전혀 다른 두 감정의 철학적 정리 자존감과 자신감, 이 두 단어는 우리가 너무 자주 듣지만 정작 자신에게 묻는 순간 혼란스러워지는 개념입니다. "나는 자존감이 낮은 걸까? 아니면 자신감이 없는 걸까?" 이 글은 이 두 감정을 철학적이고 일상적인 시선으로 다시 풀어보며, 우리가 어디서 흔들리고 있었는지를 천천히 되짚어 봅니다.왜 우리는 자존감과 자신감을 헷갈릴까? 요즘 우리는 너무 쉽게 “그건 자존감 문제야.” “자신감만 있으면 돼.” 이런 말을 주고받습니다. 하지만 막상 그 말이 지금의 내 감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물으면 대부분 선뜻 대답하지 못하죠. 왜 그럴까요? 첫째, 학문 분야에 따라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에요.심리학에서는 행동과 정서 중심철학에서는 존재와 자아의 뿌리사.. 2025. 5. 18.
삶이 너무 힘들 때, 해주고 싶은 말 (타인) 말보다 마음이 먼저 닿기를 바라는 순간 삶이 너무 힘들어 보이는 누군가를 만났을 때, 말을 꺼낸다는 건 생각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위로하고 싶지만, 내 말이 오히려 상처가 되지는 않을까. 진심으로 꺼낸 한마디가 오히려 부담이나 거리감으로 느껴지진 않을까...... 그래서 이 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을 건네고 싶은 순간을 위한, 말보다 마음이 앞서야 하는 위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시리즈는 ① 내가 나에게 해주는 말, ② 타인에게 조심스레 건네는 말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뉘어 전개됩니다. 같은 말 같아도, 그 말이 누구를 향하는지에 따라 울림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위로는 늘 조심스러워야 한다 "힘내세요." "이 또한 지나갈 거예요." 우리는 이런 말을 누군가에게 건넵니다. 하지만 그 말이 가볍.. 2025. 5. 15.
삶이 너무 힘들 때, 내가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견디지 않아도 괜찮아, 그대로인 너도 참 잘하고 있어 삶이 너무 버거운 날이 있습니다. 숨도 못 쉴 만큼 마음이 조이고, 설명할 수 없는 막막함이 차오를 때— 그 어떤 말보다 필요한 건, 내가 나에게 건네는 단 한 줄의 다정한 말일지도 모릅니다. 이 글은 그 작은 한마디가 얼마나 큰 울림이 될 수 있는지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좋은 말을 외우지만, 그 말이 진짜 위로가 되기 위해선 그 말이 누구를 향하느냐를 알아야 하죠. 위로의 방향이 다르면, 똑같은 말도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진심이라도 대상이 다르면 울림도 달라지기에, 그 감도까지 함께 짚고 싶었습니다. 이 시리즈는 ① 내가 나에게 해주는 말, ② 타인에게 조심스레 건네는 말 두 방향으로 나뉘어 전개됩니다. 하나는 내면을 어루만지는 고백이.. 2025. 5. 14.
스트레스를 껴안는 연습 해결이 아닌 수용으로 향하는 마음공부의 길 스트레스는 없애야 할 문제일까요, 아니면 그냥 거기 존재하는 감정일 뿐일까요. 철학이 스트레스를 해석하고 설명해 주었다면, 마음공부는 그 스트레스를 있는 그대로 껴안는 연습을 이야기합니다. 이 글은 스트레스를 다루는 또 하나의 방법, ‘수용’이라는 다정한 태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강해지려고 애쓰기보다, 그저 나를 느끼는 것이 먼저일 때도 있습니다.스트레스를 없애야 한다는 강박 “이 감정, 없어져야 해.” “지금 이 상태, 벗어나야 해.” 스트레스를 느낄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벗어나려고 합니다. 그래서 심호흡을 하고, 카페를 가고, 운동을 하죠. 물론 좋은 시도들이에요. 하지만 때때로, 그 어떤 것도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면 더 초조.. 2025. 5. 13.
스트레스의 철학적 의미 삶의 긴장 속에서 나를 지키는 태도에 대하여 스트레스는 이제 단순한 감정이나 반응이 아니라, 삶의 거의 모든 장면에 등장하는 일상 언어가 되었습니다. 몸이 아픈 이유도, 관계가 힘든 이유도, 무기력해진 마음의 원인도 우리는 쉽게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말하곤 하죠. 하지만 철학은 묻습니다. 과연 스트레스는 견뎌야 할 대상일까요, 아니면 우리가 나를 더 깊이 이해할 기회일까요?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개념과 철학적 관점 ‘스트레스’라는 단어는 20세기 중반 생리학에서 처음 정리되었어요. 하지만 인간의 내면에 가해지는 압박, 불안, 혼란은 고대 철학에서도 오랫동안 고민해 온 주제였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과 감정' 사이에서 균형을 잃을 때 내면이 흔들린다고 했고, 스토아 철학자들은 외부..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