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감정흘려보내기4

감정을 흘려보내는 법 (저항, 해방, 정화)– 데이비드 호킨스 [놓아버리는 연습 – 데이비드 호킨스 시리즈 2편] "감정은 떠나도록 허락만 하면 됩니다" 감정은 억제하거나 억누르는 대상이 아닙니다. 또한 감정을 분석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도 아니지요. 데이비드 호킨스 박사는 말합니다. “감정은 떠나도록 허락만 하면 됩니다.” 이 편에서는 감정에 저항하지 않고 흘려보내는 법, 그리고 그로 인해 일어나는 해방과 정화의 흐름에 대해 다뤄봅니다.감정을 억누를수록 더 크게 튄다 우리는 보통 감정이 올라올 때 이를 ‘이겨내려’ 합니다. 불안할 때 억지로 웃거나, 화날 때 스스로 참아보려 하죠. 그러나 이런 억제는 오히려 감정을 안으로 눌러 쌓이게 만듭니다. 데이비드 호킨스는 억제된 감정이 무의식 속에 저장되어 우리의 선택, 반응,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합니다. 즉, 감정.. 2025. 8. 2.
자아는 없다 (에고, 무력감, 내려놓음)-데이비드 호킨스 [놓아버리는 연습 – 데이비드 호킨스 시리즈 1편]"자아는 환상일 뿐, 진실은 조용히 드러납니다" 우리가 진정한 자유를 경험하지 못하는 이유는 ‘놓지 못해서’입니다. 데이비드 호킨스 박사는 우리 내면에 무겁게 쌓인 감정, 집착, 자아의 허상을 벗겨내는 길을 제시합니다. 이 시리즈는 『놓아버림』과 『의식 혁명』, 『의식 지도의 세계』에 기반하여, 자각의 연습, 내려놓기의 훈련, 존재로서의 진동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다룹니다. 그 시작은 아주 단순하면서도 충격적인 진실로부터 시작됩니다. “자아는 없다.”자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우리는 누구나 자아(ego)라는 구조물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 자아는 우리가 태어난 순간부터 ‘나’라는 정체성을 쌓아가며 생겨납니다. 이름, 성별, 역할, 능력, 기억, 상처 등은.. 2025. 8. 1.
감정은 지나가고, 나는 남는다 (상처받지 않는 영혼의 마이클 A. 싱어) 마이클 A. 싱어 시리즈 1편마음을 붙잡지 않고 흘려보내는 자각의 시작 이 글은 『상처받지 않는 영혼』의 저자 마이클 A. 싱어의 내면 탐구를 바탕으로 시작되는 시리즈의 첫 번째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감정과 생각을 ‘나’라고 착각하며 살아가지만, 그 모든 것은 지나가는 구름일 뿐입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적인 사유이자 현실적인 자각의 문입니다. 이 시리즈는 우리가 매일 반복적으로 마주하는 감정과 생각에서 자유로워지는 길, 즉 ‘관찰자’로 존재하는 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 시작은 아주 사소하고도 조용한 선택입니다. 붙잡지 않고 흘려보내는 연습. 그 안에서 우리는 고통조차 다르게 마주할 수 있게 됩니다.감정은 ‘나’가 아니다 우리는 늘 감정과 함께 살아갑니다. 기쁨과 슬픔, 분노와 불안,.. 2025. 7. 27.
고통은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지나갈 뿐 (에크하르트 톨레) 에크하르트 톨레 시리즈 3편고통의 몸, 에고를 꿰뚫다 우리는 살면서 '고통이 없는 삶'을 꿈꾸곤 합니다. 하지만 진실은 그 반대입니다. 고통은 우리 삶의 일부이고, 그것을 없애려는 모든 시도가 오히려 우리를 더 깊은 혼란에 빠뜨립니다. 마음공부를 하며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것은, 고통을 없애는 법이 아니라 고통과 '함께 머무는 법'입니다. 에크하르트 톨레는 말합니다. "고통은 지금 이 순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언제나 과거의 기억이거나 미래의 불안 속에 있다."지금 이 순간, 고통은 어디에 머무는가 고통은 '지금 여기'에는 없습니다. 우리가 느끼는 고통의 대부분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상처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우리 마음은 그 상처나 불안을 현재처럼 느끼게 .. 2025.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