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리즈/지혜의 조각들

철학이 묻는 질문 —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by 솜사탕써니 2025. 8. 25.
반응형

철학,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행복한 마음공부와 철학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철학의 질문은 마음공부의 가장 깊은 출발점입니다.

 

[행복한 마음공부와 철학 — 2편 연재 안내]

1편: ‘지금 이 순간, 내 마음을 지키는 힘’
2편: ‘나는 누구인가/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철학의 질문으로 방향을 세우기

 1편에서 우리는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도 ‘지금 여기’를 지키는 마음연습을 다뤘습니다. 이제 2편에서는 한 걸음 더 들어가, 행복의 방향을 결정하는 두 질문을 바라봅니다.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질문은 삶을 거창하게 만들기 위해서가 아니라, 매일의 작은 선택이 흔들리지 않게 붙잡아 주는 정신의 나침반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 질문의 힘

 

 우리는 흔히 ‘역할’로 자신을 설명합니다. 부모, 동료, 리더, 프리랜서… 역할은 중요하지만, 역할만으로는 내 마음의 결을 다 말해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말했습니다. “너 자신을 알라.”

 이 말은 자기를 책망하라는 명령이 아니라, 나는 어떤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인지를 묻는 초대입니다.

 

 나를 아는 일은 비교의 유혹에서 빠져나오는 첫걸음입니다.

 타인의 속도가 아니라 나의 리듬을 찾게 하고, 사회가 정해준 성공이 아니라 내가 기꺼이 감당하고 싶은 삶을 보게 합니다.

 자기를 아는 힘은 곧 불안에 흔들리지 않는 축이 됩니다.

💡 ‘나는 누구인가’는 정답 문제지가 아니라 관계형 질문입니다.
     나는 무엇과 연결될 때 살아 있음을 느끼는가? 무엇을 잃으면 나답지 않다고 느끼는가?
           
     — 이 두 물음이 자기를 밝혀줍니다.

 

 실천은 소박합니다. 하루 끝에 세 문장을 적어보세요.

 “오늘 나답게 느껴진 순간”, “나답지 않았던 순간”, “내일 지키고 싶은 가치”.

 며칠만 이어도 내 마음이 원하는 결이 선명해집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통제와 선택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삶을 두 범주로 나눴습니다.

 통제할 수 없는 것(타인의 평가, 날씨, 시장, 과거)통제 가능한 것(나의 태도, 말, 행동).

 불안은 대개 첫 번째에 오래 시선을 둘 때 자랍니다. 반대로 두 번째에 에너지를 쓰면 삶은 단단해집니다.

 ‘어떻게’는 거대한 계획이 아니라 일상의 문장입니다. 정직하게, 성실하게, 다정하게, 담대하게

 — 나만의 핵심태도 2~3가지를 정하고 하루를 설계해 보세요.

 사건은 늘 예측 밖이지만, 태도는 내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체크인: “지금 나는 통제 가능한 것에 에너지를 쓰고 있는가?”
 이메일 한 통의 어조, 대화에서의 호흡, 잠들기 전 감사 세 가지 — 작을수록 강합니다.

 

 태도는 실패를 지워주지 않지만, 실패 속에서 나를 잃지 않게 해 줍니다.

 성과가 흔들릴 때도 중심을 잃지 않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목표보다 태도를 먼저 점검한다는 사실입니다.

철학과 마음공부가 만날 때 — 방향과 평온

 

 철학은 ‘왜’를 밝혀주고, 마음공부는 ‘어떻게’를 길러줍니다.

 철학이 방향을 정해주면, 마음공부는 그 방향을 버틸 근육을 키웁니다. 둘은 경쟁하지 않고 서로를 완성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다정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철학적 선택이 서면, 마음공부는 호흡·기록·거리두기 같은 일상의 연습으로 그 선택을 현실로 만듭니다.

 방향 없는 근육은 힘만 세고, 근육 없는 방향은 금방 지칩니다. 둘이 만날 때 비로소 삶은 따뜻하고 견고해집니다.

💡 주간 루틴 제안: 월·수·금은 ‘철학 질문 기록’(왜/무엇을 위해), 화·목·토는 ‘마음 연습’(호흡 3분·감사 3줄).
  일요일엔 한 문장 결론: “이번 주, 내가 붙잡고 싶은 태도는 _____.”

 

 철학은 의미의 지붕을, 마음공부는 일상의 기둥을 세웁니다. 지붕과 기둥이 함께 서 있을 때 집은 비와 바람을 거뜬히 견딥니다.

행복은 질문에서 자랍니다

 

 행복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입니다. ‘얻는 것’이 아니라 ‘묻는 것’에서 자랍니다.

 오늘 묻고, 오늘 답하며, 오늘의 태도를 선택하는 사람은 내일의 불안 앞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습니다.

 그러니 자주 물어보세요.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어떻게 살 것인가?

 — 질문이 깊어질수록 삶은 단단해지고, 마음은 고요해집니다. 

 이것이 철학과 마음공부가 만나 선물하는 가장 현실적인 평온입니다.

💡 위기는 방향을 묻는 순간에 기회로 바뀝니다.
💡 태도는 운을 바꾸지는 못해도, 운을 감당하는 그릇을 키웁니다.
💡 오늘의 한 문장이 내일의 내가 됩니다.

 

솜사탕써니의 마음 여운 💗

“답을 가진 사람보다, 질문을 품은 사람이 더 멀리 갑니다. 오늘도 마음에 작은 질문 하나를 심어두세요.”

 

🌿 행복한 글을 쓰는 과정 자체가 이미 행복한 공부였습니다.
 앞으로도 마음공부와 철학의 결을 조용히 이어가며, 삶을 더 따뜻하게 바라보는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 솜사탕써니 💗 

[ 행복한 마음공부와 철학 (총 2편) ]
1편 : 행복한 마음공부 — 지금 여기에서의 나 지키기

2편 : 철학이 묻는 질문 —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반응형